뇌 최적화(22전략)/나는 왜 사랑할수록 불안해질까
-
애착유형을 통한 나의 행동 패턴에 대한 생각뇌 최적화(22전략)/나는 왜 사랑할수록 불안해질까 2023. 7. 14. 11:39
'나는 왜 사랑할수록 불안해질까' 책을 읽으면서 책의 내용 중에 회피형의 핵심 상처는 감정 방치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어린 시절 부모가 감정을 알아주지 않았기에 이들의 뇌는 감정적 욕구를 느끼고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고통 받는 부분과 역할 수행에 집중하는 부분 사이에 벽을 세웠죠. 나중에 친밀한 관계라는 위협을 느끼면 감정을 인정받지 못하는 엄청난 고통에 노출될 위험이 생기므로 이들의 애착 체계는 문을 쾅 닫고 당면한 과제에 집중합니다. 위와 같은 글을 읽고 내 스스로 생각을 했다. 나는 성인애착유형테스트에서 회피형이 나왔는데 높은지 낮은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결과는 회피형으로 나왔으니깐 저기서 말하는 회피형과 나를 비교해서 생각해 보았다. 결과는 '현재는 그렇지 않다' 이다. 과거로 되돌아가 생각해본다..
-
'나는 왜 사랑할수록 불안해질까' 읽고(1)뇌 최적화(22전략)/나는 왜 사랑할수록 불안해질까 2023. 7. 13. 18:39
이 책을 읽게 된 계기는 7월 초에 아내와 갈등으로 본질적인 원인을 알고 싶어서 검색하는 도중에 애착유형심리학의 존재를 알게 되었고 유튜브 관련 영상에서 추천을 해서 구매를 결심하게 되었다. (현재는 갈등이 많이 없지만 애착유형에 관한 문제가 남아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결심하게 되었다.) 원래는 역행자 -> 인스타 브레인 -> 장사의 신 등 계획된 책 읽기 목록이 있었지만 나는 가정의 평화를 중요시 생각하기 때문에 이 책을 먼저 읽고 있는 중이다. 현재는 읽고 있는 중이라서 무엇을 깨달았다 그런 것은 없지만 책을 읽는 동안 나를 편안하고 포근하게 안아주는 듯한 느낌을 많이 받았다. (책을 읽으면서 포근한 느낌은 처음 받아본다. 글을 읽으면 배려깊은게 느껴져서 일까??) 주로 불안형을 다루는 책인 것 같은..